
뉴스펀치 김길룡 기자 |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김종배 의원(더불어민주,시흥4)은 11월 17일 열린 보건환경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높은 물 검사 부적합률 개선 ▲정수장·저수조·옥내급수관 등 수돗물 공급시설 개선 ▲연구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해외연수 실효성 강화 ▲평택호 녹조 발생 대응체계 구축 등 도민 안전과 직결된 수질·환경 현안 전반을 심도 있게 지적했다.
김종배 의원은 먹는 물·하수·가축분뇨 등 여러 분야에서 부적합률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점을 문제로 제기했다. 평택(31%), 하남(37.5%), 과천(38%) 등 일부 지역의 먹는 물 부적합률이 높은 상황을 언급했다. 또한 하수(김포 34%, 남양주 20%), 가축분뇨(평택 33%, 파주 40%) 등에서 높은 부적합률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검사만 하고 관련 부서와의 협의·개선 조치가 충분하지 않은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종배 의원은 “정수장·저수조 등 핵심 수돗물 공급시설의 검사 건수는 나오지만, 부적합 현황과 개선 조치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정수장 원수는 부적합이 없었지만, 군용·마을 상수도에서 미생물 기준 부적합 22건 등 총 26건의 부적합이 있었음을 확인하며, 다중이용시설의 물놀이형 수경시설·물통 등의 부적합률 증가 문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종배 의원은 연구직 비율이 85%에 달하는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직원 역량이 곧 연구 품질과 도민 안전과 직결됨을 강조하며, 해외연수·국내 연수의 실효성 제고를 주문했다.
김종배 의원은 “평택호가 대형 저수지 중 최초로 ‘중점관리저수지’로 지정되었고, 1억 톤의 대규모 저수량에도 불구하고 수질이 4등급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들어 “평택호의 심각한 수질 악화 문제를 강하게 지적하며, 경기도 차원의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명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일사량·고수온 등 기후 영향과 녹조를 줄이는 핵심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체계적 관리에 있다”고 강조하며, 현재의 녹조 문제는 단순한 자연적 현상이 아니라 유역 내 비점오염원(농경지·도로·생활계 오염 등) 관리 부족과 기후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김종배 의원은 “먹는 물·하천·저수조·정수장 등 수질 전반이 도민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관련 부서와의 협력, 시설 개선, 전문성 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질의를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