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펀치 탁상훈 기자 | 인천연구원은 2025년 기획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 재외동포 정책의 발전 방향 및 체제 정비에 관한 연구를 최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인천시 재외동포 정책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성과와 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지속 가능하고 전략적인 재외동포 시정 추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천시는 2023년 재외동포청 유치를 계기로 세계 한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며 도시 경쟁력 강화와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새로운 시정 비전과 정책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이후 재외동포청 및 주요 세계 한인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대형 이벤트를 연이어 유치하며 가시적인 정책 성과를 이뤄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의 재외동포 정책이 단기적·이벤트 중심의 사업에 편중되어 있으며, 국내 거주 동포 정책과의 연계도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이에 보고서는 인천시 재외동포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네 가지 중점 정책 방향을 도출했다.
▲ 첫째, 대형 이벤트 중심의 구조를 지속 가능한 정책 자산으로 전환하기 위한 비즈니스 이벤트 레거시 전략의 도입 및 실행
▲ 둘째, 정책의 일회성 극복과 제도적 연계를 위한 디아스포라 거버넌스 기반 마련
▲ 셋째, 인천 고유의 지역 자산을 활용한 특화형 재외동포 사업 및 네트워크 구축
▲ 넷째, 인천형 재외동포 인재 유입 및 육성 전략 등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2026년 인천에서 개최 예정인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를 중심으로, 위의 네 가지 전략을 종합적으로 실행하는 정책 프레임워크로서 ‘인천 디아스포라 이니셔티브(Incheon Diaspora Initiative, IDI)’의 추진을 제안했다.
연구책임자인 김수한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IDI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가장 핵심적인 과제는 인천 디아스포라 거버넌스의 제도적 기반 마련”이라며 “인천시는 재외동포 교류·협력, 비즈니스 이벤트 기획 및 레거시 관리 등에서 민・관・산・학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협력 플랫폼을 갖출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구는 이를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2025년 인천에서 개최된 세계한인차세대대회(5.27~30) 및 세계한인경제인대회에 대한 평가를 통해 민・관・산・학 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평가회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6년 대회 지원을 위한‘민관산학협력단’을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대회 이후에는 이 협력단을‘인천 이주・동포 포럼’으로 전환하여 인천시 재외동포 시정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하는 거버넌스 기반으로 제도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