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5.8℃
  • 맑음서울 15.1℃
  • 흐림대전 13.2℃
  • 흐림대구 13.2℃
  • 흐림울산 14.0℃
  • 흐림광주 12.2℃
  • 흐림부산 14.6℃
  • 흐림고창 11.4℃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12.3℃
  • 흐림보은 12.6℃
  • 구름많음금산 13.0℃
  • 흐림강진군 12.9℃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2.9℃
기상청 제공

박정규 전북도의원, 임실치즈산업 생태계 진단 및 혁신과제 모색 정책세미나 개최

임실치즈 브랜드가치 지속가능성 유지 및 확장을 위한 발제와 토론 진행

 

뉴스펀치 김길룡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박정규 의원(문화안전소방위원회, 임실군)은 지난 11일 ‘임실치즈산업 생태계 진단 및 혁신과제 모색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임실치즈산업 생태계 전반을 진단하고, 향후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 제주우유 부대표 김응률 박사가 ‘임실치즈제품, 미래 경쟁력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으며, 임실군의회 김정흠 농업복지위원장, 오광진 전 전북농어촌종합지원센터 정책실장, 감성목장 홍미영 대표 등 다양한 임실치즈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응률 박사는 발표에서 제3자의 관점에서 임실치즈산업 현황 및 진단에 관한 발표를 진행하며, 대한민국 최초 치즈 생산지인 임실치즈의 강점과 수입산 치즈와의 경쟁 등 우려되는 부분도 많다고 분석했다. 또한 임실치즈의 브랜드 정립, 가격경쟁력 확보, 설비 인프라 지자체 지원 강화, 품목 확대 등 다양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박사는 “임실치즈산업은 높은 소비자 인지도, 축제를 통한 관광 연계 등 지금까지 위상을 이어왔지만 연계품목으로의 전략적 확대 필요성, 유가공업체간 외형적 통일 필요성, 무관세 수입산 치즈와의 경쟁 대비 등 급변하는 유제품 산업시장에 적극적으로 대비가 필요하다”며, 임실치즈산업 모든 당사자가 협력하는 발전적 모델 발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발제에 이어 진행된 토론회는 임실치즈산업 관련 거버넌스형 정책협의기구 제안, 청년 낙농가 육성을 위한 지원 필요성, 소규모 가공업체에 대한 시설지원 확대 등 임실치즈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역할 중심으로 진행됐다.

 

지정토론에는 김정흠 임실군의회 농업복지위원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오광진 전 전북농어촌종합지원센터 정책실장, 홍미영 감성목장 대표와 발제를 진행한 김응률 전 제주우유 부대표가 토론자로 나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입을 모아 “임실치즈산업은 지금까지 지자체가 막대한 예산지원 등으로 지금의 브랜드 파워를 가질 수 있었지만, 현재 생산농가와 소규모 가공업체는 해가 지날수록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하며 “대내외적으로 처한 위기상황을 모든 관계자가 참여하는 논의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찾는다면 임실치즈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박정규 의원은 “이번 세미나는 임실치즈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위한 아주 뜻깊은 자리가 됐으며, 다양한 위기에 직면한 문제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하며 “임실치즈산업의 위기는 관련종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며, 전북도의회에서도 임실지역 단체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