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형 통합돌봄 실현 위해 시군 협력체계 본격 가동” 경남도, 시군 통합돌봄 부서장 회의 개최

  • 등록 2025.04.29 18:32:20
크게보기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설명…4대 전략·10대 과제 공유

 

뉴스펀치 김길룡 기자 | 경상남도는 29일 오후 2시 창원 경남사회적경제혁신타운에서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시군 통합돌봄 부서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복지여성국장과 통합돌봄과장을 비롯해, 도내 18개 시군 통합돌봄 부서장들과 직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남형 통합돌봄’ 추진체계 구축계획 설명 ▵정책 주요 현안 및 시군 협조 사항 ▵추진체계 협력방안 논의 순으로 진행됐다.

 

‘경남형 통합돌봄’은 기존의 분절된 복지서비스를 통합‧연계하여,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서비스(일상생활돌봄, 건강관리, 보건의료, 요양 등)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이다.

 

경남도는 지난 3월 ‘생성형 AI기반으로 더 촘촘한 돌봄, 더 행복한 경남’을 비전으로 ▵선제적 돌봄대상자 발굴 ▵복지정보 접근성 향상 ▵부서별·기관별 칸막이 해소 ▵양질의 돌봄서비스 제공 등 4대 전략과 10대 추진과제를 수립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4대 전략과 10대 추진과제를 공유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의 주요 현안을 설명하고 시군의 협력을 요청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회의에서 가장 먼저 소개된 현안은 ‘위기알림앱’을 활용한 돌봄필요자 의무방문제도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업으로 장기요양등급 신청 대기·탈락 및 입퇴원자 등 돌봄이 시급한 경우가 발견하면 앱으로 신고하고, 해당 읍면동 공무원이 현장을 방문해 돌봄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제도다.

 

경남도는 이 제도가 신청주의 한계를 넘는 선제적 복지 발굴 수단이라며, 전 시군의 적극적 협조를 요청했다.

 

또한, 전 시군 대상 ‘찾아가는 현장컨설팅’과 ‘통합돌봄 전문가 양성교육’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교육은 공무원, 민간기관 종사자, 돌봄리더·활동가 등 대상별로 구분되며 올해 2,500명을 대상으로 6개 과정으로 구성된다. 도는 시군에 컨설팅 요청서 제출과 적극적인 교육 참석을 독려했다​.

 

특히, 경남도는 통합돌봄의 현장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시군에서는 조례 제·개정, 전담조직 정비, 민관 통합지원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읍면동에서는 찾아가는 보건복지팀 중심의 통합돌봄창구 운영과 맞춤형 돌봄계획 수립 등 제도적·조직적 기반 정비를 강조했다.

 

이 밖에도 기존 돌봄 제도권에 없는 틈새를 메꾸는 ‘경남형 돌봄서비스 개발’에 대한 의견수렴, 일상돌봄 서비스 현장조사, 생성성 AI기반 플랫폼 데이터 탑재를 위한 복지서비스 2차 현황조사 등을 요청했다.

 

김영선 복지여성국장은 “경남형 통합돌봄은 도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서비스 체계를 만드는 일”이라며, “실효성 있는 통합돌봄이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시군과 읍면동의 역할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시군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도는 향후 통합돌봄 정책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읍면동장 대상 정책 설명회 ▵표준매뉴얼 마련 및 읍면동 창구 담당자 교육 ▵생성성 AI기반 플랫폼 구축 및 사용자 교육 ▵서비스 품질관리 및 모니터링 등 현장 실행력 확보를 위한 연속적 행정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길룡 기자 mk8949@hanmail.net
Copyright @뉴스펀치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광주광역시 서구 군분2로 54, 금호월드오피스텔 1401호 등록번호: 광주 아00421 | 등록연월일 : 2022-06-23 | 발행·편집인 : 박영호 | 전화번호 : 062-522-0013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영호 Copyright @뉴스펀치 Corp. All rights reserved.